본문 바로가기

터놓고말하다

청년 일자리 문제, 통계와 현실 최근 청년 일자리에 대한 통계자료가 잇따라 발표되었다. 통계청의 '2015. 2.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의 실업률은 11.5%에 달한다. IMF 경제위기 직후 이후에 실시했던 조사를 제외하고는 최고치라고 한다. 높은 실업률을 뒷받침하듯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청년들도 줄어들고 있다. 아래 그래프와 같이, 20대 청년층의 고용률은 57.2%에 그치고 청년 취업자 숫자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어렵게 취업을 했다 해도 상황은 좋지 않다. 신규 청년 취업자 5명중 1명은 계약직으로 출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당시 첫 일자리가 1년 이하 계약직인 취업자는 11%였으나, 2011년부터 20%대로 진입했다. (2015. 1.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청년층 부가조사) 통계가 말해주는 청년 .. 더보기
예기치 못한 공감 어떤 현상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면 적절한 수준의 거리두기가 필요하다. 그와 더불어, 말이나 글, 즉 언어로써 현상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지난 포스팅에서 일터에서 느끼는 고민들을 종종 객관화하여 들여다보겠다고 다짐한 바 있다. 하지만 막상 언어화하려니 조금 막막했다. 특수한 맥락에 대한 이해를 전제하지 않고서는 좀처럼 공감을 이끌어내기 힘들다는 생각에 계속 주저했던 탓일까. 그러던 중 최근 어떤 만남을 통해 계기가 찾아왔다. 처음에는 낯선 이와의 짧은 업무 관련 미팅에 그칠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뜻밖에도, 내게는 한동안 잊혀지지 않을 하나의 사건으로 남게 되었다. (영어 표현으로 흔히 'total stranger'라고 하는) 생판 남이나 마찬가지인 이에게서 '예기치 못한 공감'을 얻었기 때문이다.. 더보기
교육의 형평성이라는 개념 학생들을 직접 가르치는 일은 아니지만, 비영리 교육 사업을 진행하는 일 역시 넓게 보면 '교육' 활동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기자를 그만두고 실무의 영역에 뛰어든 후부터 지금까지 여러 개의 교육 관련 프로젝트들을 담당하고 있는 나도 교육 분야에 몸담고 있는 셈이다. 햇수로 벌써 4년째이다. 하지만 아직은 교육에 대한 나 스스로의 고민이 깊어졌다고 말하기는 힘든 것 같다. 생각할 틈 없이 그날그날 부딪히는 일들을 해결하는 데 급급해서일까. 그래서 교육이 실제로 일어나는 현장에 가는 일이 더욱 소중하게 느껴진다. 현장에서 벌어지는 활동을 눈으로 보면 그 의미에 대해서도 조금 더 진지하게 탐색하게 되기 때문이다.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들으면서 이전에는 미처 몰랐던 새로운 시각을 접하기도 한다. 그동안 주로 찾.. 더보기
'낙후'라는 전략 지금의 일(작은 사회적 기업의 상근자)을 시작하고 나서부터 자주 떠오르는 경구가 하나 있다. "공략하기보다 낙후시켜라." 사회학자 조한혜정 교수(연세대 문화인류학과)가 즐겨 언급하는 말인데, 내가 처음 이 말을 접한 것은 아마도 2002년 사회학 전공 수업이 아니었던가 한다. 고등학생 때 그의 글을 신문 칼럼에서 접하면서(주로 하자센터와 청소년에 관한 글이어서 더욱 공감했던 것 같다) 사회학을 전공하겠다고 마음먹은 나는, 대입이 끝난 후에는 '글 읽기 삶 읽기' 등 '또 하나의 문화'에서 발간한 도서들을 쭉 훑으면서 꼭 직접 강의를 듣겠다고 다짐했었다. 하지만 그의 수업은 내게 느낌표보다는 물음표와 말줄임표로 남았다. 새로운 지식을 전달하거나 정통한 이론에 입각해 분석을 하는 것을 넘어서서, 지식을 창조.. 더보기